썰전 205회 (2017년 2월 9일 방영)
요즘 같이 날마다 핫뉴스가 뜨는 시기에 썰전은 시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이 현실.
썰전 이외에 Daily 프로그램들이 뉴스 분석을 다 해주기 때문에,
굳이 썰전을 보지 않아도 되는 시기인 것.
그 와중에 시작한 이 기획은 참 좋은 기획이라는 생각이 든다.
매주 썰전을 봐야 하는 확실한 이유가 생겼기 때문이다.
그래서 앞에 다 생략하고.
'차기대선주자 릴레이 썰전' 두 번째 후보로 문재인 전 대표가 나왔다.
여러 가지 논란과 정책에 관한 검증 질문들만 정리해 봤다.
1. 왜 공식적으로 대선 출마 선언 하지 않느냐.
문재인 : 어차피 대선 재도전이 이미 다 알려져 있다.
그래서 급하게 여겨지지 않을 뿐더러,
탄핵 결정이 나야 대선 국면이니,
오히려 그 전에 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진다.
2. 문 전 대표에게 '3철'이라는 비선이 있다는데?
문재인 : 사실 아니다.
한 철은 서울에도 있지 않고,
서울에 있는 철은 의원이지만 내가 원외이기 때문에
가깝게 지내고 있지 못하다.
- 깔끔한 해소는 안 된 답변이었지만,
썰전에 나와 이렇게 오래 얘기할 정도면 분명 본인의 머리에서 나온 생각들이다.
누구와는 다르게.
새삼 지난 대선 때 TV토론을 보고도 그런 선택을 한 현실이 너무 슬펐다.
3. 반문 연대 어떻게 생각하느냐.
문재인 : 나쁘지 않다.
내가 1위라는, 대세라는 것의 반증이라고 생각한다.
나는 국민들을 보고 정치하는데
그들은 나를 보고 정치하니
승부는 뻔 한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든다.
- 1위의 여유가 느껴지는 답이었다.
이에 따라온 유시민 작가님의 변호(?)는 직접 들어보시면 좋을 듯.
친문패권주의를 국민들은 딱히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약간의 근거.
4. 송민순 회고록 논란
문재인 : 송민순 장관의 이야기 자체가 오류다.
당시 참석한 주요 멤버들의 기록을 통해 거짓임이 밝혀졌다.
기억 안 난다고 했다는 것도 거짓이다.
"처음에는 찬성이었다가, 다수의 의견에 의해 기권으로 바꾼게 사실입니까?"
라는 질문에 그것까지는 기억이 안난다. 라고 한 것이 왜곡 된 것이다.
북한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는 것도
당연히 상황에 따라 필요한 조처였다.
- 이제 이거 가지고 트집 잡을 일은 절대 없을 듯.
5. 미국보다 북한을 먼저 방문하겠다는 것 사실이냐
문재인 : 너무 이상한 논란이다.
어디든 국익에 도움 된다면 가도 되는 것.
- 너무나 유치한 논란.
정말 이제는, 정말로 정말로 이제부터는
이런 유치한 종북 논란 만드는 질문들
안 나왔으면 좋겠다.
6. 군 복무기간 18개월 단축 공약
문재인 : 포퓰리즘 아니다.
줄이는 대신 현대戰(과학戰)에 대비한 다른 곳에 투자하겠다.
국방 예산을 GDP 대비 3% 가까이 되도록 (임기 내에 천천히) 올리겠다.
7.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 창출
문재인 : 단순 공무원이 아니라 공공부문 일자리를 말하는 것이다.
행정 공무원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
안전(소방), 보건, 복지 관련된 공무원 수 증가를 말하는 것이다.
일자리는 민간부문에게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,
최대 고용주인 정부 & 공공부문에서 주도해야 한다.
8. 치매 국가 책임제
문재인 : 개인이 부담하는 치매진료비의 상한을 두고
초과하는 비용은 국가가 부담하게 하겠다.
치매전문요양병원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면
하겠다. (feat. 전변)
문재인 전 대표의 썰전 출연이
현재 지지율 1위로서 과연 얼마나 큰 효과를 낼 지
혹은 역효과를 낼지 궁금했었는데,
반대자들에게는 얼마나 먹힐 지 잘 모르겠지만,
적어도 지지자들에게는 요즘 인터넷 용어로
"우리 문, 우리 문" 할 수 있는
그런 방송이지 않았나 싶다.
문재인 전 대표는 현재
과연 이유 있는 대세다.
'T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철수가 생각하는 대통령의 조건. 썰전 207회 (0) | 2017.02.24 |
---|---|
이재명 시장에게 유시민의 참 조언. 썰전 206회 (0) | 2017.02.17 |
나영석 예능 신혼일기. 재밌나요? <신혼일기 1회> (0) | 2017.02.04 |
이 프로 볼까 말까? 권상우&정준하 사십춘기 (0) | 2017.02.03 |
반기문 불출마, 그리고 유승민. 썰전 204회 (0) | 2017.02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