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영화 이야기

<싱글라이더>, 워홀러들에 대한 모욕

싱글라이더 (2017)

 

 

 

 

<싱글라이더>, 워홀러들에 대한 모욕.

 

 

 

 잘 나가던 증권회사 지점장 재훈(이병헌 분)은 모든 것을 잃자, 그래도 아직 넓은 집과, 걱정 없이 비행기 표를 끊을 수 있는 돈은 있지만, 그제야 가족을 떠올린다. 아들이 떡하니 한 집에 있음에도 이웃 호주 남자와 마약을 하는 등 바람을 피우던 아내 수진(공효진 분)은 자신의 2년 비자가 끝날 무렵이 되자 그제야 남편과 함께 호주에 살 궁리를 한다.

 

 영화 <싱글라이더>는 이 가족의 이야기인데 나는 도무지 이 이야기에 공감하거나 연민할 감정이 생기지 않았다. 반전엔 속았으나 알고 난 후에도 두 캐릭터의 기본적인 설정 자체가 위선덩어리라 불쌍하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은 것이다.

 

 유일하게 (연기를 떠나) 눈길이 가는 캐릭터는 안소희 분이 연기한 지나였다. 호주로 워킹홀리데이를 왔다가 모든 걸 잃게 되는 이 캐릭터만이, 감독이 원래 싱글라이더라는 단어에 담고자 했던 의미인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사람에 부합한다. 반면 위에 말한 두 캐릭터는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만을 따졌던 캐릭터일 뿐만 아니라 그 방법 또한 거짓말을 일삼고 무지한 사람들의 돈을 뜯어먹는 직업의 상징인 증권회사 직원, 그리고 불륜이라, 돈을 벌기 위해 새벽같이 일어나 농장행 트럭에 몸을 싯는, 젊음을 희생한 워홀러들과 같다고 볼 수 없다.

 

 재훈과 지나가 서로에게 동질감을 느끼고 서로를 위로하는 모습을 그리는 이 영화는 진정한 싱글라이더, 워홀러들에 대한 모욕이다.

 

 

 

 

 마지막으로 정말 중요한 사실을 하나.

 이 영화가 정말 안타까운 것은 지나라는 캐릭터가 서사상으로는 딱히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.

★★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워홀러들 화이팅!!